2021년 승진대비 전면개정판을 내면서.
먼저 교재에 보내준 독자들의 지속적인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2021년 승진시험부터 실무 관련하여 ‘실무종합’이 모든 계급으로 단일화 되었습니다.
따라서 기본서의 구성이나 내용 면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큰 틀에서 근·현대 한국경찰사 관련 내용의 많은 보강이 이루어졌고, 기존에는 1개 절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던 ‘경찰과 윤리’가 독립된 1개 장으로 편제되면서 대폭적인 보강이 행해졌습니다. 물론 각론
파트도 분야에 따라서는 큰 폭의 수정이 있었습니다.
이에 기존에 실무종합을 접한 분이나, 처음 접하는 분 모두 다소 어려움을 느낄 것으로 보입니다.
본 교재는 실무종합 기본서의 내용(요약해설, 문제지문 및 관련조문)을 빠짐없이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기본서와 동일한 편제로 수험생이 친숙하게 느끼도록 구성하였고, 도표로 체계적으로 정리해 한눈에
전반적인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교재 구성에서 가장 역점을 두는 부분은 근무와 공부를 병행하며 시간과의 싸움에 쫓기는 현실을 감안하여
철저하게 기본서에 토대를 둔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과목 특성상 법규의 개정에 따른 정오사항은 공제회 정오코너(http://www.pmaaedu.or.kr/shop/board)와
다음 카페 김경따(http://cafe.daum.net/kpa3112)를 통해 그때그때 신속히 제공해 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업무와 병행하는 승진공부는 시간과의 싸움입니다.
모쪼록 본서가 좋은 공부 파트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며, 본서가 나오기까지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신 관계된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0년 5월 저자 김 재 규
목차
제1편 총 론
총 론 Ⅰ
제1장 경찰과 경찰학
제1절 경찰개념의 형성 및 변천 9
제2절 경찰의 개념 구분 12
제3절 경찰의 기본적 임무 및 수단 15
제4절 경찰의 기본이념 20
제2장 한국경찰의 근·현대사
제1절 갑오개혁부터 일제강점기 이전의 경찰 22
제2절 일제 강점기의 경찰 24
제3절 대한민국 임시정부경찰 25
제4절 미군정하의 경찰 27
제5절 정부 수립 이후 경찰 28
제6절 한국경찰사에 길이 빛날 경찰의 표상 33
제3장 경찰법의 법원과 경찰조직법
제1절 법치행정과 경찰법의 법원 36
제2절 경찰조직법 42
제4장 경찰공무원과 법
제1절 개 설 51
제2절 경찰공무원의 근무관계 53
제3절 경찰공무원의 권리·의무·책임 65
제4절 경찰공무원의 권익보장제도 78
제5장 경찰작용법
제1절 경찰권발동의 근거와 한계 82
제2절 경찰작용의 유형 86
제6장 경찰관 직무집행법 93
총 론 Ⅱ
제7장 경찰관리
제1절 서 설 110
제2절 경찰조직관리 110
제3절 경찰인사관리 113
제4절 경찰예산관리 117
제5절 장비관리와 보안관리 122
제6절 문서관리 130
제7절 경찰홍보 133
제8장 경찰에 대한 통제
제1절 서 설 139
제2절 통제의 유형 및 그 장치 140
제3절 경찰 감찰활동과 경찰통제 151
제4절 인권보장과 경찰통제 155
제9장 경찰과 윤리
제1절 바람직한 경찰의 역할모델과 전문직업화 161
제2절 경찰의 일탈 164
제3절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 169
제4절 경찰의 문화 176
제5절 경찰인의 윤리표준과 경찰윤리강령 179
제2편 각 론
각 론 Ⅰ
제1장 생활안전론
제1절 범죄의 개념 193
제2절 범죄원인론 195
제3절 범죄통제론 199
제4절 생활안전경찰 203
제5절 112신고 205
제6절 지역경찰 209
제7절 경비업(경비업법) 215
제8절 풍속영업 216
제9절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220
제10절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221
제11절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222
제12절 경범죄처벌법 223
제13절 유실물법 227
제14절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실종아동등 및 가출인 업무처리 규칙」 228
제15절 청소년 보호법 231
제16절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236
제17절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239
제18절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241
제2장 범죄 수사
제1절 수사의 기본개념 243
제2절 수사의 주체로서의 경찰 245
제3절 수사절차 248
제4절 현장수사활동 264
제5절 수사면담(조사) 277
제6절 수배제도 285
제7절 유치장 관리 및 호송 (피의자 유치 및 호송 규칙) 290
제8절 우범자 관리 (우범자 첩보수집 등에 관한 규칙) 294
제9절 범죄감식(과학수사) 295
제10절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301
제11절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304
제12절 마약류사범 수사 308
제13절 기타 사범 수사 312
제3장 경비경찰활동
제1절 경비경찰의 의의 및 특징 315
제2절 경비경찰의 근거와 한계 317
제3절 경비경찰의 조직 및 수단 319
제4절 경비경찰의 주요대상 321
각 론 Ⅱ
제4장 교통경찰활동
제1절 교통지도단속 347
제2절 운전면허 365
제3절 주취운전 및 난폭운전 373
제4절 교통사고 378
제5절 관련 판례 382
제5장 정보경찰활동
제1절 경찰정보의 이해 391
제2절 경찰정보활동의 실제 408
제6장 보안경찰활동
제1절 보안경찰의 의의와 특색 427
제2절 공산주의 이론 430
제3절 북한의 대남전략전술과 국내 안보위해세력 433
제4절 방첩활동 439
제5절 보안수사 448
제6절 보안관찰 458
제7절 남북교류협력(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461
제8절 북한이탈주민의 보호(북한이탈주민의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463
제7장 외사경찰활동
제1절 외사일반 466
제2절 국적(국적법) 472
제3절 외국인의 입·출국 473
제4절 외교사절 485
제5절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사건 수사 489
제6절 국제경찰공조 494
제7절 기타 관련내용 502